고객센터
실내기 또는 실외기의 오류가 감지될 때 LED 램프에 불이 깜빡이게 됩니다. (점등 또는 점멸)
램프에 불이 깜박거리면 우선 실내기 필터 와 실외기 환기를 확인해 주세요
전원을 꺼도 녹색/주황색 램프가 깜빡이는 경우 필터 청소 시기를 알려주는 표시 일수 있습니다.
1. 에어컨 전원 코드와 에어컨 전용 차단기를 내려주세요.
2. 5분 후 에어컨 전용 차단기를 올린 후 에어컨을 다시 켜주세요. 동일 증상 반복 시 전문 서비스 매니저의 점검이 필요합니다.
고객센터(1544-7777)로 문의해 주세요.
출장 서비스 예약 | LG전자 고객지원(lge.co.kr)
3. 제품 작동을 하지 않아도 녹색/주황색 램프가 깜빡이는 경우 아래 콘텐츠를 참고해 보세요.
[LG 에어컨 에러코드] 에어컨 전원을 꺼도 램프에 불이 안 꺼져요
표시되는 램프의 색상은 모델에 따라 초록색 또는 빨간색이 있으며 램프의 깜빡임 수는 1,2,3~ 숫자를 표시하며 깜빡임의 간격 시간에 따라 100단위 10단위 1단위의 에러를 표시합니다.
에러를 구분하기가 힘들 수 있으며 핸드폰으로 촬영하여 반복되는 구간을 확인하면 편안하게 확인이 가능합니다.
➔ 1WAY (바람 나오는 출구가 1개)이며 LED 표시램프가 1개인 제품
➔ 4WAY, 2WAY (바람 나오는 출구가 4개 또는 2개)이며 LED 표시램프가 1개인 제품
➔ 4WAY, 2WAY, 1WAY (바람 나오는 출구가 4개, 2개, 1개)이며 LED 표시램프가 4개인 제품
자가 조치하여도 증상이 동일한 경우 서비스 매니저의 도움이 필요합니다.
고객센터(1544-7777)로 문의해 주세요.
출장 서비스 예약 | LG전자 고객지원(lge.co.kr)
에러 번호 | 에러항목 | 에러 발생 사유 | 자가조치 방법 |
---|---|---|---|
5 | 통신에러 | 실내기와 실외기 간의 통신 불량 (실내기 ↔ 실외기) | 에어컨 전용 차단기 내려가 있는지 확인해 주세요. (실외기 실에 중간 스위치가 있는 경우도 있으니 확인해 주세요.) 차단기 내렸다가 3분 후 다시 올려도 동일하게 에러가 발생되면 서비스 접수해 주세요. |
7 | 냉난방 동시운전 에러 | 실내기 간 운전모드가 상이할 경우 (예. 거실 냉방, 안방 난방 운전할 경우) | 각각의 실내기의 운전모드 (냉방 또는 난방)가 같게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 후 다르게 설정되어 있으면 운전모드를 냉방 또는 난방으로 일치시켜 주세요. (예. 거실 냉방, 안방 난방 운전할 경우 → 거실 냉방, 안방 냉방으로 일치시켜주세요.) |
21 | 실외기 인버터 압축기 IPM 불량 | 압축기 또는 인버터 PCB 고장 | 일시적인 에러 발생일 수 있습니다. 실외 측 메인 차단기를 내렸다가 3분 후 다시 올려서 사용해 보세요. 그래도 동일하게 에러가 발생되면 서비스 접수해 주세요. |
22 | 실외기 인버터 압축기 입력과 전류 | 실외기 과전류 발생 | 일시적인 에러 발생일 수 있습니다. 실외 측 메인 차단기를 내렸다가 3분 후 다시 올려서 사용해 보세요. 그래도 동일하게 에러가 발생되면 서비스 접수해 주세요. |
23 | 실외기 인버터 압축기 DC link 고/저전압 | 실외기 공급 전압 문제 (과전압 / 저전압) 또는 인버터 내부 회로 불량 | 일시적인 에러 발생일 수 있습니다. 실외 측 메인 차단기를 내렸다가 3분 후 다시 올려서 사용해 보세요. 그래도 동일하게 에러가 발생되면 서비스 접수해 주세요. |
24 | 실외기 고압 스위치 | 실외기 내부 압력스위치 고장 또는 과부하에 의한 고압스위치 동작 | 일시적인 에러 발생일 수 있습니다. 실외 측 메인 차단기를 내렸다가 3분 후 다시 올려서 사용해 보세요. 그래도 동일하게 에러가 발생되면 서비스 접수해 주세요. |
25 | 실외기 입력 전압 고/저전압 | 실외기 공급 전압이 정격 전압보다 높거나 낮을 경우 발생 | 일시적인 에러 발생일 수 있습니다. 실외 측 메인 차단기를 내렸다가 3분 후 다시 올려서 사용해 보세요. 그래도 동일하게 에러가 발생되면 서비스 접수해 주세요. |
26 | 실외기 인버터 압축기 시동실패 오류 | 실외기 압축기 고장 | 일시적인 에러 발생일 수 있습니다. 실외 측 메인 차단기를 내렸다가 3분 후 다시 올려서 사용해 보세요. 그래도 동일하게 에러가 발생되면 서비스 접수해 주세요. |
27 | PSC/PFC 과전류 에러 | 과부하운전 또는 PCB 내부 부품 소손 | 일시적인 에러 발생일 수 있습니다. 실외 측 메인 차단기를 내렸다가 3분 후 다시 올려서 사용해 보세요. 그래도 동일하게 에러가 발생되면 서비스 접수해 주세요. |
29 | 실외기 인버터 압축기 과전류 | 압축기 전류가 비정상적으로 높은 경우로, 봉입 냉매량이 많거나 냉매 흐름이 방해되는 경우/ 실외기 환기가 제대로 되지 않는 경우 | 일시적인 에러 발생일 수 있습니다. 실외 측 메인 차단기를 내렸다가 3분 후 다시 올려서 사용해 보세요. 그래도 동일하게 에러가 발생되면 서비스 접수해 주세요. |
30 | 정속 2번 압축기 토출온도 과다상승 | 냉매가 부족하거나 냉매 흐름이 방해되는 경우, 냉매 유량 제어 밸브 고장인 경우 | 일시적인 에러 발생일 수 있습니다. 실외 측 메인 차단기를 내렸다가 3분 후 다시 올려서 사용해 보세요. 그래도 동일하게 에러가 발생되면 서비스 접수해 주세요. |
32 | 인버터 토출온도 error (high) | 냉매가 부족하거나 냉매 흐름이 방해되는 경우, 냉매 유량 제어 밸브 고장인 경우 | 일시적인 에러 발생일 수 있습니다. 실외 측 메인 차단기를 내렸다가 3분 후 다시 올려서 사용해 보세요. 그래도 동일하게 에러가 발생되면 서비스 접수해 주세요. |
33 | 정속 1번 압축기 토출온도 과다상승 | 냉매가 부족하거나 냉매 흐름이 방해되는 경우, 냉매 유량 제어 밸브 고장인 경우 | 일시적인 에러 발생일 수 있습니다. 실외 측 메인 차단기를 내렸다가 3분 후 다시 올려서 사용해 보세요. 그래도 동일하게 에러가 발생되면 서비스 접수해 주세요. |
34 | 고압 과다 상승 | 냉매가 많거나 냉방 시 실외기, 난방 시 실내기 열교환이 제대로 되지 않는 경우 | 냉방 시 실외기 주위 차폐물이 없는지 점검해 보세요. 난방 시 실내기 공기 흡입부에 차폐물이 없는지 점검해 보세요. (필터가 먼지/이물질 등으로 완전히 막혀 있는 경우 필터를 청소해 주세요.) 그래도 동일하게 에러가 발생되면 서비스 접수해 주세요. |
35 | 저압 과다 하강 | 냉매가 부족하거나 냉매 흐름이 방해되는 경우, 냉매 유량 제어 밸브 고장인 경우 | 일시적인 에러 발생일 수 있습니다. 실외 측 메인 차단기를 내렸다가 3분 후 다시 올려서 사용해 보세요. 그래도 동일하게 에러가 발생되면 서비스 접수해 주세요. |
53 | 통신에러 | 실내기와 실외기 간의 통신 연결 불량 (실외기 485 모뎀 ↔ 실외기) | 실내기 차단기 내려가 있는지 확인해 주세요. 차단기가 정상적으로 올라가 있고 전원 공급에 문제가 없으면 서비스 접수해 주세요. |
54 | RST 역상 감지 | 실외기 삼상 전원선의 방향이 반대로 연결된 경우 | 일시적인 에러 발생일 수 있습니다. 실외 측 메인 차단기를 내렸다가 3분 후 다시 올려서 사용해 보세요. 그래도 동일하게 에러가 발생되면 서비스 접수해 주세요. |
61 | 실외배관온도 error (high) | 냉매가 많거나 냉방 시 실외기, 난방 시 실내기 열교환이 제대로 되지 않는 경우 | 냉방 시 실외기 주위 차폐물이 없는지 점검해 보세요. 난방 시 실내기 공기 흡입부에 차폐물이 없는지 점검해 보세요. (필터가 먼지/이물질 등으로 완전히 막혀 있는 경우 필터를 청소해 주세요.) 그래도 동일하게 에러가 발생되면 서비스 접수해 주세요. |
67 | 실외 fan lock error | 실외 팬 구속에 의한 동작 불량 또는 팬 모터 불량 발생 | 실외기 Fan 구동부에 이물질이나 눈이 쌓일 경우 발생할 수 있습니다. 환경적으로 이상이 없다면 서비스 접수가 필요합니다. |
➔ CH05 에러
실외기 전원 차단기가 내려져있는지 확인해 주세요.
실내기의 전원이 들어와도 실외기 전원 차단기가 내려져 있으면 에러가 발생해요.
실외기 전원 차단기가 내려져 있다면 에러 해제를 위하여 실내기 전원 차단기를 내렸다 3분 후에 실외기 전원 차단기와 동시에 올려 주세요.
※ 실외기 전용 차단기가 설치되지 않았거나 차단기를 올려도 반복적으로 내려간다면 전문 서비스매니저의 점검이 필요합니다.
➔ CH07 에러
CH07 코드는 하나의 실외기로 여러 대의 실내기 사용 시 운전상태(냉방,난방)가 다를 때 알려주는 코드입니다.
운전상태는 항상 두 제품이 같을 때 정상적으로 에어컨이 동작합니다.
※ 더 자세한 방법이 알고 싶다면 천장형 에어컨 CH-07 표시가 나타나고 운전이 안돼요를 클릭해주세요.
이런 원인/증상이 있나요?
운전 모드가 자동, 인공지능, 제습 등으로 선택하면 사용자에 따라 약하다고 느껴질 수 있으니 운전 모드를 냉방으로 선택하고 현재 실내 온도가 희망 온도보다 낮거나 같다면 희망 온도를 실내 온도보다 낮게 설정해 보세요.
실내 온도보다 희망온도가 낮으면 낮을수록 냉기가 더 차갑게 나와요.
간접 바람 기능이나 바람각 조절 기능을 활용하면 날개 각도를 최대로 하향 조정해 보세요.
만일 바람막이(윈드 바이저)가 설치되어 있다면 윈드 바이저 각도를 아래로 향하도록 해보세요.
실외기 실 갤러리를 열지 않고 제품 사용 시 실외기 온도 상승에 의해 시원한 바람이 나오지 않을 수 있습니다.
실외기 주변에 장애물이 있다면 환기가 잘 되도록 정리해 주세요.
최근에 필터 청소를 하지 않았다면 필터 청소를 해보세요.
에어컨의 필터에 먼지가 쌓여 있으면 날씨가 더워질수록 냉방 능력이 떨어집니다.
※ 자세한 필터 청소 방법이 알고 싶다면 다음을 클릭해 주세요.
[직사각형 모델] 필터청소는 어떻게 하나요?
원형 카세트 필터 청소방법
[2014년 이전 정사각형 모델] 필터청소는 어떻게 하나요?
[2014년 이후 정사각형 모델] 필터청소는 어떻게 하나요?
[천장 매립형 덕트] 필터 청소는 어떻게 하나요?
➔ 외부 더운 공기가 유입되면 냉방 효율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출입구, 실내 창문을 닫고, 환기장치는 가동을 멈추고 사용해 보세요.
주방 요리 중에는 에어컨을 잠시 끄고 요리를 하시는 것을 권장 드립니다.
이 콘텐츠는 공용으로 제작되어 구입한 제품과 다른 이미지나 내용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1. 에어컨 가동시간 2,400시간 경과 시 자동으로 필터청소 알림 표시 입니다.
2. 필터청소 알림 램프는 에어컨 전원을 꺼도 점등을 하며 50시간 경과 시 자동으로 해제됩니다.
3. ‘즉시 해제’를 원하실 경우 리모컨에서 “예약취소” 또는 “설정/해제” 버튼을 짧게 세 번 누르면 해제됩니다.
※ 유선 리모컨 사용 중인 경우 설정 메뉴 항목에서 필터 상태 확인 및 초기화를 선택하여 필터 교체 시기 알림 초기화를 할 수 있어요.
1. 필터청소 전 안전을 위해 [주전원 스위치]를 내려주세요.
2. 전면 그릴의 필터 커버를 열고 필터를 빼냅니다.
1) 고정 걸이 ② 두 곳을 눌러 프리 필터를 꺼내세요.
2) 극초미세 먼지 필터의 고정 걸이 ③ 두 곳을 눌러 극초미세 먼지 필터를 꺼내세요.
3) 광촉매 탈취필터를 잡아당겨 꺼내세요.
3. 프리 필터 청소하기
1) 분리한 필터를 진공청소기나 부드러운 솔로 청소해 줍니다.
오염이 심한 경우, 중성세제를 이용해 물로 씻어주는데 40℃(104℉) 이상의 뜨거운 물은 사용하지 마십시오.
2) 프리 필터를 바람이 잘 통하고 그늘진 곳에서 말리세요.
3) 광촉매 탈취필터와 극초미세 먼지 필터 청소하기
광촉매 탈취필터
물로 세척하지 말고 약한 햇빛이나 형광등 아래에서 3시간 정도 말리세요.
극초미세 먼지 필터
극초미세 먼지 필터가 잠길 정도의 물에 담가 여러 번 흔들어 세척하세요.
오염이 심한 경우 중성세제를 탄 미지근한 물에 30분 정도 담근 후 깨끗한 물로 충분히 헹구세요.
그늘에서 하루 정도 말리세요.
극초미세 먼지 필터에 물기가 남아있는 상태로 조립하면 경고음이 7회 울립니다.
→ 에어컨 전용 차단기가 내려가 있다면, 차단기를 올려 주세요.
차단기는 보통 현관 입구 또는 신발장 안쪽 벽면에 설치되어 있으며 [에어컨], [A/C]로 표기되어 있고 실외기 실 벽에 추가 차단기가 설치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차단기를 On 하지 않으면 에어컨에 전기가 공급되지 않아 제품이 동작하지 않습니다.
→ 새 건전지로 바꿔 끼워주세요.
건전지가 방전되었을 수도 있으니 뒷면의 커버를 열어서 새 건전지로 바꿔 끼워주세요.
그런 다음 리모컨의 [운전 / 정지] 버튼을 눌러 표시창이 켜지는지 확인해주세요.
새 건전지로 바꿨는데도 표시창에 아무것도 나타나지 않거나 표시창에 문자가 나타났다가 사라진다면 리모컨에 이상이 있는 것입니다.
LG전자 서비스 센터와 상담해주세요.
※ 더 자세한 방법이 알고 싶다면 리모컨 작동이 잘 안돼요를 클릭해주세요.
실내기 선택 제어를 사용을 하지 않을 경우 무선 리모컨 화면의 실내기 선택이 ‘전체’로 되어있어야 합니다.
1, 2, 3, 4로 선택이 되어 있는 경우 동작이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전체’로 되어있지 않은 경우에는 리모컨 버튼 중에 ‘실내기 선택’ 버튼으로 ‘전체’를 선택 후 운전 버튼을 작동해주세요.
리모컨의 ‘실내기선택’버튼을 입력할 때마다 전체 → 1 → 2 → 3 → 4 순서대로 순환합니다.
실내기 선택 제어
실외기 실 환기창(갤러리)을 활짝 열어주세요.
실외기 실 갤러리를 열지않고 제품 사용 시 실외기 온도 상승에 의해 시원한 바람이 나오지 않을 수 있습니다.
실외기 주변의 장애물을 치워서 환기가 잘 되도록 해주세요.
※ 실외기 주변 온도가 35℃ 이상 올라갈 경우 성능이 저하될 수 있습니다.
→ 리모컨의 운전모드가 ‘냉방’운전인지 확인해 주세요.
송풍 운전/난방 운전 모드 설정 시 시원한 바람이 나오지 않습니다.
냉방 모드로 희망온도를 18도로 에어컨을 가동하여 5분 이후에 냉방이 잘 되는지 확인해 보세요.
→ 필터를 분리하여 청소해 주세요.
필터에 먼지나 이물질이 많을 경우 바람세기가 약해지거나 냉방 성능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 필터 청소 방법이 알고 싶다면 [천장 매립형 덕트] 필터 청소는 어떻게 하나요?, [직사각형 모델] 필터청소는 어떻게 하나요?, [2014년 이전 모델] 필터청소는 어떻게 하나요?를 클릭해 주세요.
에어컨은 별도의 차단기가 설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차단기가 내려가 있으면 전원이 켜지지 않아요.
에어컨 전용 차단기에는 [에어컨 또는 A/C]로 표기되어 있어요.
➔ 에어컨 전용 차단기가 내려가 있다면 차단기를 올려주세요.
➔ 무선 리모컨 액정화면이 꺼져 있다면 배터리를 교체해주세요.
배터리 교체 후에도 리모컨 액정화면이 꺼져 있다면 리모컨을 교체해 주세요.
※ 무선리모컨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무선 리모컨으로 켜지지 않아요를 클릭해주세요.
가정용 천장형의 실외기 실 내부에 별도의 실외기 전원 스위치 확인
예시) 누액이 흘렀을 때 모습
이 콘텐츠는 공용으로 제작되어 구입한 제품과 다른 이미지나 내용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1대의 실외기에 여러 대의 실내기가 연결되어 있는 멀티 제품은 실내기가 냉방 또는 난방으로 일치되게 사용해야 됩니다.
예) 1실은 냉방으로 1실은 난방으로 선택하면 동작되지 않습니다.
1. 에어컨 전원 차단기 위치를 확인하여 차단기를 내렸다가 3분 정도 기다린 후 다시 올려주세요.
차단기 위치를 모르실 경우 건물 관리사무소 등에 문의하여 도움을 받으세요.
2. 전체 에어컨을 차례대로 한대씩 가동하고 바로 운전선택 버튼을 눌러 냉방 또는 난방으로 일치시켜 사용해 보세요.
(차단기를 내렸다 3분 후에 다시 올려 주세요.)
※ 전체 에어컨을 차례대로 운전버튼을 눌러 가동을 하고 바로 운전선택버튼을 눌려 냉방 또는 난방으로 일치 시킨 다음 사용을 하세요.
이 콘텐츠는 공용으로 제작되어 구입한 제품과 다른 이미지나 내용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1. 필터 청소 전 안전을 위해 전원 플러그를 뽑고 주전원 스위치를 내려주세요.
2. 천장 흡입구의 필터 커버를 열어 필터를 빼주세요.
천장 매립형 덕트 에어컨은 흡입구는 제품과 별도로 천장에 부착되어 있어요.
(흡입구는 인테리어 설치 자재로 시공되어 여닫는 방법은 제조사마다 약간 다를 수 있습니다.)
3. 분리된 필터를 진공청소기나 부드러운 솔로 청소해 주세요.
오염이 심할 때는 중성세제를 이용해 물로 씻어줍니다.
4. 필터를 건조할 때는 불이나 직사광선을 피하고 그늘에서 잘 말려주세요.
필터에 먼지가 끼면 냉방 및 난방 능력이 떨어지고 전기 요금이 많이 나오므로 주기적으로 청소해 주세요.
(필터 청소는 유상서비스로 고객님께서 직접 하시면 비용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유선 리모컨으로 냉방 혹은 난방 선택이 안되거나, 무선 리모컨으로 냉방 혹은 난방 선택 시 제품에서 비프 음 5회 발생된다면, 냉/난방 동시 운전 에러로 제품 이상이나 고장은 아닙니다.
※ 냉/난방 동시 운전 에러 : 1대의 실외기에 여러 대의 실내기가 연결되어 있을 경우 난방 운전 가동함에도 일부 실내기 한/두 대가 냉방 운전이 가동되는 것.
리모컨 운전 정지 버튼을 눌러 에어컨 실내기 모두를 차례대로 꺼주세요.
약 5분 정도 기다린 후 실내기를 차례대로 모두 냉방 또는 난방 운전으로 일치하여 켜 주시면 정상 운전이 됩니다.
※ 무선 리모컨의 냉방 전환 시 해당 실내기 모두가 냉방 또는 난방으로 일치하지 않을 때는 부저음이 5번(삐삐삐삐삐) 울립니다.
리모컨 운전 정지 버튼을 눌러 에어컨 실내기 모두를 차례대로 꺼 주십시오.
모든 에어컨을 정지 후 냉방 선택이 안 되는 제품부터 다시 켜주세요.
중앙제어 장치의 개별 잠금 또는 전체 잠금 되었는지 확인해 주세요.
중앙 제어 장치의 개별 잠금 또는 전체 잠금을 해제(PC 중앙제어장치는 담당자에게 해제해달라고 요청하시면 됩니다.)
중앙제어에서 각 실의 개별 제어를 못하도록 설정을 하면 실내기의 유선 리모컨에서 [HL]이라는 경고 메시지가 나옵니다.
※ 중앙 제어기 : 학교, 회사 내의 냉/난방 장치를 관리소에서 원격으로 제어하는 장치입니다.
이 콘텐츠는 공용으로 제작되어 구입한 제품과 다른 이미지나 내용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 실내기 또는 실외기의 오류가 감지될 때 LED 램프에 불이 들어오게 됩니다. (점등 또는 점멸)
1. 에어컨 전용 차단기가 내려가 있다면, 차단기를 올려 주세요. (실외기실에 중간 스위치가 있는 경우같이 확인해 주세요.)
에어컨 전용 차단기는 [에어컨] 또는 [A/C]로 표기되어 있으며, On 상태인지 확인해 주세요.
OFF 상태일 경우, 에어컨에 전기가 공급되지 않아 제품이 동작하지 않습니다.
* (영업장, 원룸, 오피스텔. 등 일부 사용 제품에는 실내기, 실외기 전원이 따로 공급될 수 있으며 확인이 필요합니다.)
2. 램프에 불이 깜박거리면 먼저 실내기 필터 와 실외기 환기를 확인해 주세요.
3. 일시적인 에러 발생일 수도 있으니 에어컨 전용 차단기를 내렸다가 3분 후 다시 올려주세요.
1. 에러코드를 확인해 주세요. (에러코드 확인 방법)
➔ 1WAY (바람 나오는 출구가 1개)이며 LED 표시램프가 1개인 제품
표시되는 램프의 색상은 모델에 따라 초록색 또는 빨간색이 있으며 에러는 동일하게 표시합니다.
➔ 4WAY, 2WAY (바람 나오는 출구가 4개 또는 2개)이며 LED 표시램프가 1개인 제품
➔ 4WAY, 2WAY, 1WAY (바람 나오는 출구가 4개, 2개, 1개)이며 LED 표시램프가 4개인 제품
2. 에러코드에 따른 자가 조치 방법 안내 프린트하기
에러 번호 | 에러항목 | 에러 발생 사유 | 자가조치 방법 |
---|---|---|---|
5 | 통신에러 | 실내기와 실외기 간의 통신 불량 (실내기 ↔ 실외기) | 에어컨 전용 차단기 내려가 있는지 확인해 주세요. (실외기 실에 중간 스위치가 있는 경우도 있으니 확인해 주세요.) 차단기 내렸다가 3분 후 다시 올려도 동일하게 에러가 발생되면 서비스 접수해 주세요. |
7 | 냉난방 동시운전 에러 | 실내기 간 운전모드가 상이할 경우 (예. 거실 냉방, 안방 난방 운전할 경우) | 각각의 실내기의 운전모드 (냉방 또는 난방)가 같게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 후 다르게 설정되어 있으면 운전모드를 냉방 또는 난방으로 일치시켜 주세요. (예. 거실 냉방, 안방 난방 운전할 경우 → 거실 냉방, 안방 냉방으로 일치시켜주세요.) |
21 | 실외기 인버터 압축기 IPM 불량 | 압축기 또는 인버터 PCB 고장 | 일시적인 에러 발생일 수 있습니다. 실외 측 메인 차단기를 내렸다가 3분 후 다시 올려서 사용해 보세요. 그래도 동일하게 에러가 발생되면 서비스 접수해 주세요. |
22 | 실외기 인버터 압축기 입력과 전류 | 실외기 과전류 발생 | 일시적인 에러 발생일 수 있습니다. 실외 측 메인 차단기를 내렸다가 3분 후 다시 올려서 사용해 보세요. 그래도 동일하게 에러가 발생되면 서비스 접수해 주세요. |
23 | 실외기 인버터 압축기 DC link 고/저전압 | 실외기 공급 전압 문제 (과전압 / 저전압) 또는 인버터 내부 회로 불량 | 일시적인 에러 발생일 수 있습니다. 실외 측 메인 차단기를 내렸다가 3분 후 다시 올려서 사용해 보세요. 그래도 동일하게 에러가 발생되면 서비스 접수해 주세요. |
24 | 실외기 고압 스위치 | 실외기 내부 압력스위치 고장 또는 과부하에 의한 고압스위치 동작 | 일시적인 에러 발생일 수 있습니다. 실외 측 메인 차단기를 내렸다가 3분 후 다시 올려서 사용해 보세요. 그래도 동일하게 에러가 발생되면 서비스 접수해 주세요. |
25 | 실외기 입력 전압 고/저전압 | 실외기 공급 전압이 정격 전압보다 높거나 낮을 경우 발생 | 일시적인 에러 발생일 수 있습니다. 실외 측 메인 차단기를 내렸다가 3분 후 다시 올려서 사용해 보세요. 그래도 동일하게 에러가 발생되면 서비스 접수해 주세요. |
26 | 실외기 인버터 압축기 시동실패 오류 | 실외기 압축기 고장 | 일시적인 에러 발생일 수 있습니다. 실외 측 메인 차단기를 내렸다가 3분 후 다시 올려서 사용해 보세요. 그래도 동일하게 에러가 발생되면 서비스 접수해 주세요. |
27 | PSC/PFC 과전류 에러 | 과부하운전 또는 PCB 내부 부품 소손 | 일시적인 에러 발생일 수 있습니다. 실외 측 메인 차단기를 내렸다가 3분 후 다시 올려서 사용해 보세요. 그래도 동일하게 에러가 발생되면 서비스 접수해 주세요. |
29 | 실외기 인버터 압축기 과전류 | 압축기 전류가 비정상적으로 높은 경우로, 봉입 냉매량이 많거나 냉매 흐름이 방해되는 경우/ 실외기 환기가 제대로 되지 않는 경우 | 일시적인 에러 발생일 수 있습니다. 실외 측 메인 차단기를 내렸다가 3분 후 다시 올려서 사용해 보세요. 그래도 동일하게 에러가 발생되면 서비스 접수해 주세요. |
30 | 정속 2번 압축기 토출온도 과다상승 | 냉매가 부족하거나 냉매 흐름이 방해되는 경우, 냉매 유량 제어 밸브 고장인 경우 | 일시적인 에러 발생일 수 있습니다. 실외 측 메인 차단기를 내렸다가 3분 후 다시 올려서 사용해 보세요. 그래도 동일하게 에러가 발생되면 서비스 접수해 주세요. |
32 | 인버터 토출온도 error (high) | 냉매가 부족하거나 냉매 흐름이 방해되는 경우, 냉매 유량 제어 밸브 고장인 경우 | 일시적인 에러 발생일 수 있습니다. 실외 측 메인 차단기를 내렸다가 3분 후 다시 올려서 사용해 보세요. 그래도 동일하게 에러가 발생되면 서비스 접수해 주세요. |
33 | 정속 1번 압축기 토출온도 과다상승 | 냉매가 부족하거나 냉매 흐름이 방해되는 경우, 냉매 유량 제어 밸브 고장인 경우 | 일시적인 에러 발생일 수 있습니다. 실외 측 메인 차단기를 내렸다가 3분 후 다시 올려서 사용해 보세요. 그래도 동일하게 에러가 발생되면 서비스 접수해 주세요. |
34 | 고압 과다 상승 | 냉매가 많거나 냉방 시 실외기, 난방 시 실내기 열교환이 제대로 되지 않는 경우 | 냉방 시 실외기 주위 차폐물이 없는지 점검해 보세요. 난방 시 실내기 공기 흡입부에 차폐물이 없는지 점검해 보세요. (필터가 먼지/이물질 등으로 완전히 막혀 있는 경우 필터를 청소해 주세요.) 그래도 동일하게 에러가 발생되면 서비스 접수해 주세요. |
35 | 저압 과다 하강 | 냉매가 부족하거나 냉매 흐름이 방해되는 경우, 냉매 유량 제어 밸브 고장인 경우 | 일시적인 에러 발생일 수 있습니다. 실외 측 메인 차단기를 내렸다가 3분 후 다시 올려서 사용해 보세요. 그래도 동일하게 에러가 발생되면 서비스 접수해 주세요. |
53 | 통신에러 | 실내기와 실외기 간의 통신 연결 불량 (실외기 485 모뎀 ↔ 실외기) | 실내기 차단기 내려가 있는지 확인해 주세요. 차단기가 정상적으로 올라가 있고 전원 공급에 문제가 없으면 서비스 접수해 주세요. |
54 | RST 역상 감지 | 실외기 삼상 전원선의 방향이 반대로 연결된 경우 | 일시적인 에러 발생일 수 있습니다. 실외 측 메인 차단기를 내렸다가 3분 후 다시 올려서 사용해 보세요. 그래도 동일하게 에러가 발생되면 서비스 접수해 주세요. |
61 | 실외배관온도 error (high) | 냉매가 많거나 냉방 시 실외기, 난방 시 실내기 열교환이 제대로 되지 않는 경우 | 냉방 시 실외기 주위 차폐물이 없는지 점검해 보세요. 난방 시 실내기 공기 흡입부에 차폐물이 없는지 점검해 보세요. (필터가 먼지/이물질 등으로 완전히 막혀 있는 경우 필터를 청소해 주세요.) 그래도 동일하게 에러가 발생되면 서비스 접수해 주세요. |
67 | 실외 fan lock error | 실외 팬 구속에 의한 동작 불량 또는 팬 모터 불량 발생 | 실외기 Fan 구동부에 이물질이나 눈이 쌓일 경우 발생할 수 있습니다. 환경적으로 이상이 없다면 서비스 접수가 필요합니다. |
에러코드 표에 없는 에러의 경우 경우 전문 서비스 매니저의 점검을 권장 드립니다.
고객센터(1544-7777)로 문의 또는 출장 서비스 예약 | LG전자 고객지원 (lge.co.kr)을 해주세요.
➔ 스마트 진단
스마트 진단 기능을 통해 제품 이상 확인 가능, LG 전자 홈페이지 ‘고객지원’ 페이지 제품 문제 해결 정보를 얻을 수 있어요.
스마트 진단 결과에 따라 고객센터 연결도 바로 할 수 있어 편리합니다.
ThinQ 홈 화면 → 유용한 정보 진입 → 스마트 진단 시작
이 콘텐츠는 공용으로 제작되어 구입한 제품과 다른 이미지나 내용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